동물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군의 하나. 토끼와 호랑이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설화가 단일 유형으로 존재한다기보다 다수가 존재하므로 유형군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군에 속하는 설화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
|
①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에게 자신은 뭇짐승들이 모두 도망갈 정도의 강자라고 허세를 부린다. 호랑이는 자신의 앞에서 도망하는 짐승들을 보고, 이들이 토끼를 보고 도망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자신도 도망한다.
②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보다 더 센 짐승이 있다고 한다. 토끼가 호랑이를 물가로 데려 가니, 호랑이는 물 속에 비친 자신의 그림자를 보고 싸우려 달려든다.
③ 한겨울에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꼬리를 물 속에 넣고 기다리면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고 일러준다. 호랑이가 토끼의 말대로 하자 꼬리가 얼어붙어 꼼짝할 수 없게 된다.
④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돌을 불에 달구어 이를 떡이라 하고, 꿀을 얻어 오겠으니 기다리라 하고 도망한다. 기다리다 못한 호랑이는 불에 단 돌을 집어 먹다가 혼이 난다.
⑤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참새떼를 잡게 해 주겠으니 눈을 감고 있으라고 일러준다. 호랑이가 눈을 감고 기다리자, 토끼는 숲에 불을 놓고 도망한다.
⑥ 함정에 빠졌던 호랑이가 자신을 구해 준 사람을 잡아 먹으려 한다. 사람이 토끼에게 재판을 부탁하니, 토끼는 처음의 상황을 알아야겠다고 하여 호랑이를 다시 함정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이와 같은 꾀쟁이 토끼는 설화적 ‘사기꾼(trickster)’의 유명한 예인데, 서구에서는 ‘르나아르 이야기’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동물 사기꾼 이야기의 결말 부분에는 특정 동물들의 현재 모습과 습성이 생기게 된 연유를 밝히는 설명론적인 모티프가 붙어 있는 경우도 많다.
동물 사기꾼은 대개 약자인 경우가 많으며 흔히 탐욕스런 강자로부터 생명에 대한 위협이나 무리한 요구를 받게 되는데, 이 때 겉으로는 강자에게 순응하는 체하지만, 속으로는 그 특유의 슬기로써 어리석기 짝이 없는 강자를 골려주고 위기에서 벗어난다.
이 경우 그가 행한 속임수는 고의적인 것이라기보다는 부득이한 상황 속에서 순간적으로 약자가 대처한 자기 방어적인 것이며, 이는 인간의 현실을 동물에 가탁하여 의인화한 우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트릭스터譚 硏究(曺喜雄, 語文學論叢, 6, 國民大 語文學硏究所,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