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문왕의 귀설화(여이설화)-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신라 48대 경문왕은 임금 자리에 오른 뒤에 갑자기 그의 귀가 길어져서 나귀의 귀처럼 되었다.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으나 오직 왕의 복두장이(邏頭--:예전에 왕이나 벼슬아치가 머리에 쓰던 복두를 만들거나 고치는 일을 하던 사람)만은 알고 있었다.
그는 평생 그 사실을 감히 발설하지 못하다가 죽을 때에 이르러 도림사(道林寺)라는 절의 대밭 속으로 들어가 대나무를 향하여 ‘우리 임금님 귀는 나귀 귀처럼 생겼다.’라고 소리쳤다.
그 뒤부터는 바람이 불면 대밭으로부터 ‘우리 임금님 귀는 나귀 귀처럼 생겼다.’는 소리가 났다. 왕은 이것을 싫어하여 대를 베어 버리고 산수유를 심게 하였으나 그 소리는 여전하였다고 한다.
신라 48대 경문왕의 귀에 관한 설화.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경문대왕의 귀’, ‘여이설화(驢耳說話)’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권2 48경문대왕조(四十八景文大王條)에 ‘세 가지 좋은 일로 임금이 된 응렴(膺廉)’, ‘뱀과 함께 자는 임금’ 이야기와 함께 ‘당나귀 귀를 가진 임금’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의 것으로서, 오비드(Ovid)의 ≪변신 Metamorphoses≫에 보이며, 그 내용은 소아시아 반도의 프리지아(Phrygia)의 왕 마이더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도 마이더스의 귀가 당나귀 귀로 되어 있다는 점은 우리 나라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프랑스·루마니아·러시아·그리스·아일랜드·칠레와 같은 지역에선 당나귀 귀 외에도 말이나 수산양(-山羊)의 귀로도 나타난다고 한다. 한편, 우리의 ‘복두장이’가 마이더스 왕의 이야기에서는 ‘이발사’로, ‘대나무’가 ‘갈대’로 되어 있는 점은 조금 다르다. 아시아권에서의 이 유형의 분포 지역은 우리 나라 외에도 인도·몽고·터키·투르크스탄·키르키즈 등에도 존재함이 확인되었는데, 내용상으로는 각각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고 있으나, 주인공들이 모두 당나귀 귀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지리적·정치적 여건으로 보아 이 설화 유형은 중국과 일본에도 존재하였을 가능성은 있으나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설화를 현대화한 작품으로 1957년 ≪문학예술 文學藝術≫ 11월호에 발표한 방기환(方基煥)의 〈귀〉가 있다.
|
미다스왕의 귀 이와 유사한 신화로는 미다스 왕의 귀는 당나귀 귀가 있다. 그 신화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일(황금손을 갖고 나서 고생했던 일)이 있은 뒤부터 미다스 왕은 부귀를 마다하고 산이나 숲에 정을 붙였다. 그는 황금에 신물이 난 참이라 황금 대신 산속 동굴에 사는 판을 섬겼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어리석은 사람이었다. 한번 당하고도 또 한 번 당하게 되니, 어리석어도 크게 어리석은 사람이었다. 트몰로스 산에는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가파른 사면이 있다. 이 사면의 한쪽은 사르디스, 다른 한쪽은 휘파이파이다. 이곳에 사는 판은 요정들을 모아놓고 노래를 부르거나 갈대를 밀랍으로 이어붙인 피리를 불고는 했다. 노래를 부르고 피리를 부는 것은 좋은데, 이 판은 제 노래 솜씨와 피리 솜씨를 몹시 뽐냈다. 뽐내는 정도가 아니라 제 음악을 감히 아폴로의 음악에 견주면서 거들먹거렸다. 결국 이 판은 감히 아폴로와 음악을 겨룰 생각을 했다. 심판은 토몰로스 산신이 맡기로 했다. 나이 많은 산신은 산 사면에 자리를 잡고 앉아, 조금이라도 더 잘 들을 욕심으로 귓속에서 자란 나무라는 나무는, 머리카락 대신인 참나무만 남겨놓고 다 뽑아내었다. 그의 관자놀이에는 도토리가 잔뜩 매달려 대롱거렸다. 「심판 볼 준비는 다 되었소.」 산신이 판과 아폴로 신에게 말했다. 판은 피리를 꺼내어 한 곡조 멋들어지게 불었다. 판의 가락은 마침 그 자리에 와 있던 미다스의 귀에 그렇게 아름답게 들릴 수가 없었다. 판의 피리 소리를 다 들은 트몰로스 산신은 고개를 돌려 아폴로 신을 바라보았다. 그가 고개를 돌리자 트몰로스 산의 나무라는 나무는 모두 아폴로 신을 바라보았다. 아폴로 신은 파르나소스의 월계수로 금발을 질끈 동여맨 채, 보라색 옷자락을 끌며 나왔다. 그는 왼손에 힌두스 상아 무늬가 박힌 수금, 오른손에는 수금채를 들고 있었다. 아폴로 신이 악신답게 한 곡을 연주하자 트몰로스 산신은 그 가락에 취해 눈을 지긋이 감고 있다가 판의 피리 소리보다는 아폴로 신의 수금 소리가 낫다고 판정했다. 그 자리에 나와 있던 청중들도 모두 이 점잖은 산신의 판정에 동의했다. 그러나 미다스만은 아니라고 했다. 그는, 공정하지 못하다면서 심판의 판정에 항변했다. 델로스의 신은, 이같이 어리석은 자의 귀가 여느 인간의 귀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공정하지 못하다고 여겼던 모양이었다. 그래서 신은 이 미다스의 귀를 잡아늘이고는 그 안에 털이 소복이 자라게 한 다음, 미다스의 머리에 달린 채로 이쪽저쪽으로 움직일 수도 있게 만들었다. 귀만 빼면 미다스의 다른 곳은 멀쩡했다. 단지 귀 모양만 바꾼 것이었다. 미다스의 귀는 당나귀 귀와 비슷했다. 귀가 이 모양이 되자 미다스 왕은 이를 감추려고 전전긍긍하다가 보라색 모자를 썼다. 그러나 그는 머리를 손질하는 이발사에게까지 그 귀를 감출 수는 없었다. 이발사는 미다스의 귀가 그 꼴이 되어 있다는 말을 하고 싶어 죽을 지경이었지만 감히 왕의 비밀을 발설할 수가 없어서 속을 끓였다. 결국 견디다 못한 그는 들판으로 나가 땅에다 구덩이를 파고는 거기에다, 임금님 귀가 '당나귀 귀'라는 말을 하고는 흙으로 다시 구덩이를 메웠다. 그제야 그는 집으로 돌아와 편히 잠들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자리에서 갈대가 돋아나기 시작했다. 즉 남풍에 흔들릴 때마다, 제가 자란 땅에 묻혔던, 임금님 귀에 대한 주인의 비밀을 누설한 것이다.
고대 전설에 나오는 어리석고 욕심많은 왕. 미다스 이야기는 디오니소스 전설 중의 하나로서 아테네인들의 사티로스 연극 속에 나오는 유쾌한 광대극에서 처음으로 표현되었다. 이 이야기는 오비디우스의 〈변형담 Metamorphoses〉 같은 후기 고전기의 이형들을 통해 현대 독자들에게 친숙해졌다. 신화에 따르면 미다스는 디오니소스 신의 친구이자 숲의 신인 실레노스를 사로잡았으나 매우 친절하게 대해주어 디오니소스가 그 보답으로 그의 소원을 하나 들어주겠다고 했다. 그의 소원은 그가 만지는 모든 것을 금으로 변하게 해달라는 것이었는데, 음식마저 금으로 변하여 거의 굶어죽게 된 그는 자기 잘못을 깨닫는다. 디오니소스는 그에게 팍톨루스 강(지금의 터키 사르디스 근처)에서 목욕하게 해서 벗어나도록 했으며 그후 그 강에는 사금이 생기게 되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로는 미다스가 아폴론과 숲의 신 마르시아스의 음악 경연의 심판을 보다가 마르시아스의 승리를 선언하자 화가 난 아폴론이 그의 귀를 당나귀 귀로 만들었다고 한다. 귀를 터번으로 감추고 지내던 미다스는 이발사에게만큼은 감출 수 없었다. 아무에게도 절대 말하지 말라고 부탁했으나 이발사는 참지 못하고 땅바닥의 구덩이에 비밀을 털어놓고 구덩이를 메웠다. 그후 그곳에서 자라난 갈대가 바람이 불어 흔들릴 때마다 "미다스 귀는 당나귀 귀"라는 말이 갈대밭에서 들려왔다고 한다.
헤로도투스에 따르면 BC 700년경 델포이 신전에 제물을 바쳤으며, 또 아이오리스의 왕 큐메의 딸과 결혼하였다고도 한다. 미다스 왕의 이름은 산가리우스 지방에 있는 바위기념비에 새겨져 있으며, 또 아시리아에서는 ‘미타’로 기록되어 있으나 인명보다는 왕조의 이름으로 추측되는데, 최후의 미다스 왕은 외적의 침입을 받고 BC 700년 직후에 자살하였다고 한다. 그에 관한 주된 전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 파스칼세계대백과사전) |
미다스(Midas) 왕(王)의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미다스 왕은
1. 히타이트(Hittite) 제국(帝國)의 멸망(滅亡) (약 1200 BC) 1200 BC 년 경에 일어난 고대사(古代史) 최대(最大)의 수수께끼 중 하나인 고대국가 청동기(靑銅器) 시대 말, 철기(鐵器) 시대로 접어들 무렵에 지중해 동쪽의 고대 국가들이 갑자기 잿더미가 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히타아트, 미케네, 필로스, 트로이, 우가리트, 알라시아(키프로스) 등 지중해(地中海) 이후 그리스에 첫 도시국가가 생기고 문자(文字)로 기록(記錄)을 남기기 시작하는 암흑시대(暗黑時代, Dark Age)는 서양(西洋)의 관점에서 편의상(便宜上) 붙인 명칭이다. 앗시리아나 아집트는 멸망하지 않았으니 엄밀히 따지면 암흑시대(暗黑時代)는 아니다. 그리스인들이 프리기아(Phrygia)라고 부르는 나라가 앗시리아의 기록에는 무쉬키(Mushki) 히타이트가 멸망한 후 1160 BC 년에 무쉬키(Mushki) 라는 나라가 대군(大軍)을 이끌고 앗시리아의 알지(Alzi) 와 푸루후지(Puruhuzzi) 를 공격한다. 50년 후 앗시리아의 티글라트-필레세르1세(Tiglath-Pileser I)가 반격(反擊)하여
히타이트 말기(末期)부터 군사강국(軍事强國)으로 발돋움하다가 히타이트가 멸망한 후에는
히타이트 멸망 후 히타이트의 유민(遺民)들은 말라티아(Malatya), 타발(Tabal),
718 BC 년에 프리기아(Phrygia)의 미다스(Midas) 왕으로 추정(推定)되는 무쉬키(Mushki)의 미타(Mita) 왕이 등장한다. 미타(Mita) 왕은 타발(Tabal), 카르케미시(Carchemish) 등과 연합하여 앗시리아에 그런데 709 BC 년에 무쉬키(Mushki)의 미타(Mita)왕은 갑자기 앗시리아에 호의적(好意的) 으로 나온다.
앗시리아의 또다른 적대국이었던 우라르투(Urartu)와 동맹(同盟)을 맺기 위해
체포(逮捕)되어 앗시리아로 넘겨진다. 갖게 만든 요인은 무엇일까? 714 BC 년에 킴메리아인이라 불리는 한 무리의 호전적(好戰的)인 민족(民族)이 코카사스 이때 무쉬키는 앗시리아의 동맹국(同盟國)이었기 때문에 무쉬키 군(軍)도 같이 원정(遠征)을 간 것으로 보인다.
살아남은 군사(軍士)들을 이끌고 서쪽으로 향하는 옛길을 따라 중앙 아나톨리아 지역을 가로지른 후 그리스 문명권(文明圈)에서 "프리기아의 미다스 왕"으로 다시 나타났다고 본다. 이후 지층(地層)에서는 동부(東部) 아나톨리아 양식의 유물이 다량으로 발견된다.
했다는 증거다.
끊는다.
5. 프리기아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 헤로도토스의 "역사 제2권"을 보면 프리기아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적혀 있다.
아이들이 말을 할 시기가 됐을 때 처음으로 하는 말을 조사하여 세상에서 가장 오래 된 민족을 찾으려는 의도였다. 헤로도토스의 "역사"를 직접 인용한다. 프리기아인이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민족이라고 그리스인들은 정말로 믿었을까? 이집트인, 앗시리아인, 미케네인이 프리기아인 보다 더 오래된 민족인데 말이다.
발굴한다.
무덤 안에는 각종 진귀(珍貴)한 물건들이 많이 발견됐는데, 이것이 미다스 왕의 황금손 이야기를 낳은 것이 아닌가 추정(推定)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스인들이 일부러 만들어낸 이야기라는 주장을 펴는 사람들이 있다. 새로운 주장을 펼쳤는데 "당나귀 귀" 는 청동기 시대 때 왕(王)의 신성(神性)한 신체적 특징으로 여겨졌다는 것이다.
적의(敵意)를 버리고 동맹(同盟)을 맺은 사람이다. 재등장한다. 없자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극적인 삶을 마감한다. |
'한국 신화 > 한국의 신화,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구복여행설화(救福 旅行說話) (0) | 2013.03.03 |
---|---|
[스크랩] 구렁덩이 신선비 (0) | 2013.03.03 |
[스크랩] 야래자(夜來者) 설화 - 견훤설화 (0) | 2013.03.03 |
[스크랩] 거타지 설화 (居陀知說話) (0) | 2013.03.03 |
[스크랩] 강감찬설화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