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돌떡 먹는 호랑이 돌떡 먹는 호랑이 토끼의 꾀에 속아 불에 달군 돌을 떡인 줄 알고 먹었다가 혼나는 호랑이를 다룬 설화. 동물담 유형의 하나이다. 독립적으로 구연되는 경우보다는 ‘꾀쟁이 토끼’ 혹은 ‘토끼와 호랑이’ 유형의 삽화 중 하나로 구연되는 경우가 흔하다. 내용도 매우 단순하여, 호랑이..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무당호랑이설화 무당호랑이설화 호랑이떼에게 잡혀먹히게 된 사람이 피리소리로 호랑이떼를 물리치고 부자가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소담(笑譚)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로 ‘춤추는 호랑이’·‘무녀호(巫女虎)’·‘무동(舞童) 탄 호랑이’ 등으로도 불린다. 독립유형으로서뿐만 아니라 〈아버지..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참새를 기다리는 호랑이 참새를 기다리는 호랑이 참새를 잡게 해준다는 토끼의 꾀에 넘어가 화상을 입은 호랑이에 관한 설화. 동물담으로 분류된다. 민간에서는 이 유형만이 독립적으로 전승되기보다는, 〈호랑이의 꼬리 낚시〉 및 〈돌떡(石餠) 먹는 호랑이〉 유형과 연합되어 하나의 이야기를 이루는 것이 보..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토끼와 호랑이 토끼와 호랑이 동물담에 속하는 설화 유형군의 하나. 토끼와 호랑이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설화가 단일 유형으로 존재한다기보다 다수가 존재하므로 유형군이라 할 수 있다. 이 유형군에 속하는 설화 유형들은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에게 잡힌 토끼가 호랑이에게 자신은 뭇짐승들이 모두..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호랑이의 꼬리낚시 호랑이의 꼬리낚시 토끼의 꾀에 넘어간 호랑이가 꼬리로 낚시하다 얼어붙었다는 내용의 설화. 동물담에 속한다. ‘꼬리로 물고기 잡는 호랑이’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독립적으로 이야기되기도 한다. 하지만 ‘토끼와 호랑이’ 연쇄담 속의 한 삽화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다. 즉, 〈돌..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문무왕설화(文武王說話) 문무왕설화(文武王說話) 신라 제30대 왕인 문무왕에 관한 설화. 인물전설로 문무왕이 죽어서 호국룡(護國龍)이 되고자 하였으므로 ‘호국룡설화’라고도 한다. 문무왕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알려진 대왕암(大王巖)과 신문왕이 선왕(先王)의 유언이 성취되길 기원한 감은사(感恩寺), 그리..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봉선화설화 봉선화설화 봉선화 또는 봉숭아라 불리는 화초의 유래에 관한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기원담에 속하는 이야기 유형이다. 민간에 전래되는 각편 중에는 봉선화라는 꽃 이름이 봉선이라는 궁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과 봉선이라는 신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의 두 가지 종..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서산대사 설화 서산대사 설화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승군장(僧軍將)이었던 서산대사 휴정(休靜)에 관한 설화. 휴정만이 등장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흔히 사명당(泗溟堂) 유정(惟政)과 함께 지혜 또는 도술을 겨루는 이야기로 전승된다. 서산대사설화의 여러 유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오성과 한음설화 오성과 한음설화 오성 이항복(李恒福)과 한음 이덕형(李德馨)에 관한 설화. 오성과 한음은 조선 선조 때 명신으로, 어려서부터 친구로 지내면서 장난이 심하고 기지가 뛰어나 수많은 일화를 남겼다. 그중에 가장 널리 알려진 몇 개의 이야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오성의 담력 : 한..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호랑이 담배 먹게 된 유래 호랑이 담배 먹게 된 유래 어머니의 병을 고치려고 호랑이로 변하였던 효자가 아내 때문에 사람 모습을 되찾지 못하고 말았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 중 변신담(變身譚)에 속한다. ‘호랑이가 된 효자’·‘효자 호랑이 설화’로도 불린다.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서는 ‘효자 황..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