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황새알을 빼앗은 호랑이 황새알을 빼앗은 호랑이 동물담 중 유래담. 혹은 지략담에 속하는 설화의 하나. 조선 말기의 문헌설화집 <기문>의 제2화 <작겁호갑> 이래로 전국 각처로 부터 채록된 현지 조사례가 많이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혹은 여우등)가 까치의 ..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3
[스크랩] 연동사 전우치 동굴 전설 <전우치굴에 관한 문헌자료>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등과 함께 <건연집>이라는 시집을 낸 영.정조 시대의 유명한 실학자인 이덕무(1739-1793)는 그의 저서 <청장관전서> 중 <한죽당필기>에서 전우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전우치는 담양사람이다. 어릴 때 암자..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3.02
[스크랩] 천년 여우의 천적, 삼족구(三足狗) [ 천년 여우- 구미호의 천적, 삼족구(三足狗) ] - 바탕 - 날짐승은 대부분 두 발이고, 길 짐승은 대부분 네 발이다. 그런 가운데서 세 발이라 함은.. 이러한 보통의 동물과 다르다는 점에서 기이한 이미지로 다가온다. 당연히 신성한 동물일 수밖에 없다. 부정적인 의미가 됐든 긍정적인 의미..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3.02.21
[스크랩] *10개의 알아두면 좋을 우리신화 우리신화는 모든 사물에 신이 있다고 믿고, 신을 만들어 왔으며, 신들에 기대어 삶을 살면서 만들어낸 이야기들이 우리 신화이다. 신은 사람을 닮고, 사람은 신을 닮는다. 1. 이승신 소별왕, 저승신 대별왕 천지왕이 총명아가씨를 찾아와 두 아들을 낳아 소별왕, 대별왕을 낳고 하늘로 올..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2.06.13
[스크랩] *본풀이와 열두본풀이의 내용 본풀이란 본 - 신의 뿌리, 굿의 원리 - 를 말하며 풀이 - 푼다, 한풀이, 서술한다, 이야기 한다 - 를 뜻하는 의미로 그자체가 서사시이며 신화이다. 본풀이는 신의 내력담, 즉 신의 출생에서 부터 신이 좌정 할때까지의 생애 이야기로서 신화이면서 굿의 원리를 차례차례로 풀어 나가는 '굿..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2.06.13
[스크랩] 제주도의 신화와 굿 제주도의 신화와 굿 제주섬의 신을 말할 때 흔히 ‘1만8천 신들’이라고 표현한다. 왜 하필이면 1만8천일까. 그것은 실제 숫자의 개념이 아니다. ‘그토록 많음’을 뜻하는 상징적인 기호인 것이다. 신들의 이야기는 제주의 굿을 통해 그 내력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신들의 이야기를 ‘신화’라고 하는..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1.05.10
[스크랩] 죽음을 뜻하는 우리말^^ 우리말에 죽음을 뜻하는 낱말은 무척 많습니다. 종교에서 따로 쓰는 낱말도 있고, 한자문화권에서 온 낱말도 있습니다. 영면(永眠) : 영원히 잠들다는 뜻으로 죽음을 뜻하는 말. 유명한 사람의 죽음 영서(永逝) : 영원히 간다는 뜻으로 죽음을 이름. 작고(作故) : 고인(故人, 옛날 사람)이 되었다. 잠매(潛..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1.05.01
[스크랩] 거칠내(荒川) 거칠내(荒川) 처음에는 "荒川"을 "황천"으로 번역(飜譯)할까 하다가 "거칠 황"이 생각나서 "내 천"과 합쳐 "거칠내(荒川)"로 이름붙였다. 나름대로 아름다운 우리말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저기 찾아보면 아직도 "무슨무슨 내"라고 이름붙은 지명(地名)들을 볼 수 있다. 서울에 "모래내"가 있다. 굳이 한자(漢..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1.05.01
태양새가 검은 이유. 상당히 오래전 부터 중국 신화에서 태양은 까마귀, 달은 두꺼비와 연결되었고 유명한 예의 신화에서도 태양들의 정체는 황금빛 까마귀입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도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와 달을 상징하는 두꺼비가 등장하며 또 신라의 서출지 신화에서도 까마귀는 쥐, 돼지와 함께 경고하는 동.. 한국 신화/한국의 신화,설화. 2011.04.30